수익형 지식노트/티스토리 블로그

내 블로그는 검색이 잘될까? 확인하는 방법 robots.txt와 구글서치콘솔

세잘사 프레리나 2025. 4. 24. 11:31
반응형

내 블로그는 왜 검색이 안될까?

굿모닝! 세잘사 프레리나 입니다 😄

화요일은 비가 하루종일 오더니 어제에 이어 오늘은 정말 쾌청하고 싱그러운 날씨네요!

블로그 글을 열심히 썼는데,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해도 내 글이 안 뜨는 경험… 다들 있으실 거예요.
"도대체 내 블로그는 잘 검색되고 있는 걸까?" 궁금할 땐, 내 블로그 상태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답니다!


📌 목차


📌 robots.txt와 서치콘솔의 차이

robots.txt 서치콘솔
검색엔진이 어디를 크롤링(읽기) 해도 되는지 알려주는 파일
(크롤러의 접근 허용/차단 결정)
구글에게 "내 사이트 여기 있어요!" 라고 알려주고 검색 상태를 관리하는 도구
(크롤링, 색인, 검색 결과 상태 확인)

🧩 결론: 두 개는 보완 관계!

robots.txt 서치콘솔
"크롤러야, 이 경로는 읽어도 돼!"
= 문 열어줌
"구글아, 여기 우리 집이야!"
= 주소 알려줌
구글봇에게 어디를 읽을지 안내 구글에게 내 블로그를 소개

🔍 robots.txt 예시와 해석

User-agent: *
Disallow: /

➡ 이건 모든 검색엔진이 내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를 읽지 말라는 뜻이에요.
📛 이러면 서치콘솔에 등록해도 내 글은 검색에 안 나와요!

User-agent: *
Disallow: /guestbook
Disallow: /manage

➡ 특정 경로만 읽지 말라는 설정이에요. 대부분의 블로그는 이런 방식으로 필요한 부분만 차단합니다.


💡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robots.txt 활용

  • 직접 수정은 불가능하지만, https://블로그주소.tistory.com/robots.txt로 확인 가능해요.
  • 기본적으로 관리자 영역, 방명록 등은 차단되어 있고 나머지는 열려 있음.
  • SEO를 위한 구조로 잘 설정되어 있어서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!

✅ 기본 구조 예시

User-agent: *
Disallow: /admin/
Disallow: /owner/
Sitemap: https://블로그주소.tistory.com/sitemap.xml

📎 참고 상황별 팁

상황 robots.txt와의 관계 추천
블로그가 검색에 안 잡혀요 robots.txt가 너무 제한적일 수 있음 주소로 직접 확인
글이 검색되기 싫어요 noindex 메타태그 또는 비공개 설정 티스토리 기본 기능 사용
sitemap 제출하고 싶어요 robots.txt에 sitemap 경로 필요 티스토리는 자동 반영됨

🔍 구글 서치콘솔 연동 방법

  1.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→ 왼쪽 하단 플러그인 클릭
  2. 스크롤을 내리면 구글 서치콘솔 플러그인 발견!
  3. 계정 연결하기 클릭 → 구글 로그인 → 자동 연동 완료
  4. 사이트맵이 자동 등록되어 따로 제출 안 해도 돼요 🎉
구글 서치콘솔로 직접 가서 확인해보아도 이렇게 잘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:)

이제는 robots.txt와 서치콘솔을 함께 활용해서, 내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는 구조로 관리해보세요! 세잘사 프레리나는 언제나 응원하고 있답니다 🥰

반응형